창세기 11장 해석
바벨탑과 흩어진 인류, 셈의 족보
본문 요약
창세기 11장은 인간이 하나 되어 하나님께 도전하려 했던 바벨탑 사건과, 그로 인해 언어가 나뉘고 온 땅으로 흩어지게 된 과정을 기록한다. 이어서 셈의 족보를 통해 아브라함의 등장까지 연결되며, 인류 가운데서 하나님의 구속 계획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한다.
본문의 구조
- 바벨탑과 언어의 혼잡(1절~9절)
- 셈의 족보와 아브람의 계보(10절~26절)
- 데라의 가족과 아브람의 이주(27절~32절)
바벨탑과 언어의 혼잡
“온 땅의 언어가 하나요 말이 하나였더라”는 말로 시작되는 바벨탑 사건은, 인간의 기술과 협력이 잘못된 방향으로 흘러갈 때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를 보여준다. 사람들이 시날 땅 평지에 모여 “성읍과 탑을 건설하여 그 탑 꼭대기를 하늘에 닿게 하자”고 계획한 것은 단순한 건축이 아니라, 스스로 하나님처럼 되려는 교만의 표현이다. “우리가 우리 이름을 내고 온 지면에 흩어짐을 면하자”는 말은 하나님의 명령인 생육하고 땅에 충만하라는 뜻을 정면으로 거스르는 의도였다.
하나님은 그들의 도시와 탑을 보고 내려오신다. 이는 인간의 높아진 탑도 하나님의 시선 아래에서는 여전히 작은 존재일 뿐임을 드러내며, “우리가 내려가서 거기서 그들의 언어를 혼잡하게 하여”라는 하나님의 말씀은 인간의 단합이 하나님의 뜻을 거스르는 수단이 되었을 때, 그것을 멈추게 하신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람들은 서로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흩어지게 되었다. “그 이름을 바벨이라 하니”라는 말씀은 혼잡과 흩어짐의 상징이 되었으며, 인간의 자만심이 어떤 결과를 낳는지를 분명히 보여준다.
바벨탑 사건은 기술이나 문화 자체가 잘못된 것이 아니라, 그것을 통해 하나님을 대신하고자 하는 인간의 태도에 문제가 있다는 경고이다. 하나님은 교만한 인간을 흩으시지만, 그 흩어짐 속에서 결국 하나님의 뜻을 이루신다. 이 사건은 인간의 죄와 하나님의 주권이 충돌할 때, 하나님의 계획이 항상 우선된다는 사실을 선포한다.
셈의 족보와 아브람의 계보
10절부터는 셈의 족보가 이어진다. 이는 단순한 가계의 나열이 아니라, 하나님의 구속사가 구체적인 한 인물을 향해 수렴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기록이다. 셈은 백 세에 아르박삿을 낳고 이후 에벨까지 이어진다. 특히 “벨렉 때에 세상이 나뉘었더라”는 말은 바벨탑 사건과 관련이 있으며, 인류가 흩어진 사건이 실제 역사 속에서 일어났다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셈의 후손들은 루, 스룩, 나홀, 데라로 이어지며, 마침내 아브람이 등장한다. 이 계보는 점점 짧아지는 수명과 함께 인간의 연약함을 드러내지만, 동시에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 선택될 한 사람을 향해 방향이 좁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은 많은 민족 가운데서도 한 사람을 택하시고, 그를 통해 큰 구속의 역사를 이루시려는 뜻을 계속 이어가신다.
데라의 가족과 아브람의 이주
27절부터는 데라의 족보가 좀 더 상세하게 소개된다. 데라는 아브람, 나홀, 하란을 낳았고, 하란은 일찍 죽고 그의 아들 롯이 남는다. 아브람은 사래와 결혼하지만, “사래는 임신하지 못하므로 자식이 없었더라”는 말은 이후 펼쳐질 하나님의 기적적인 개입과 언약의 배경이 된다.
데라는 갈대아 우르에서 가나안으로 가고자 하여 가족을 데리고 떠나지만 하란에 이르러 거기 거주한다. 이는 완전한 순종의 모습은 아니지만, 하나님의 부르심을 향한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데라는 하란에서 205세까지 살다가 죽는다.
아브람은 아직 본격적인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지 않았지만, 이 장의 마지막은 그가 앞으로 중심 인물로 등장할 준비가 되었음을 암시한다. 아브람은 이후 하나님의 언약을 받고 이스라엘 민족의 조상이 되며, 인류를 위한 구속의 큰 흐름 속에 놓이게 된다.
결론
창세기 11장은 인간의 교만과 하나님을 떠난 자율적인 시도가 어떻게 실패로 끝나는지를 바벨탑 사건을 통해 분명히 보여준다. 하지만 그 흩어짐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구속사는 중단되지 않는다. 오히려 셈의 족보를 따라 한 사람, 아브람을 중심으로 하나님의 언약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한다. 하나님은 사람의 교만을 꺾으시되, 흩어진 인류 가운데서도 은혜의 끈을 놓지 않으신다. 이 장은 실패로 끝나지 않고,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희망의 연결점이 된다.
창세기 요약
'성경연구 > 성경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 13장 해석 (0) | 2025.04.02 |
---|---|
창세기 12장 해석 (0) | 2025.04.02 |
창세기 10장 해석 (0) | 2025.04.02 |
창세기 9장 해석 (0) | 2025.04.02 |
창세기 8장 해석 (0) | 2025.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