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세기 38장 해석

הלך 2025. 4. 2.
반응형

유다와 다말의 이야기 – 언약 계보 안의 예외적 사건

본문 요약

창세기 38장은 요셉의 이야기 중간에 삽입된 유다와 다말의 사건을 다룬다. 유다는 가나안 여인과 결혼하고 세 아들을 낳지만, 첫째 아들과 둘째 아들이 차례로 죽고, 며느리 다말은 시아버지 유다와의 관계를 통해 자손을 얻게 된다. 이 사건은 인간의 타락과 복잡한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의 언약 계보가 계속 이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본문의 구조

  1. 유다의 결혼과 자녀 출생(1절~5절)
  2. 다말의 시집살이와 두 아들의 죽음(6절~11절)
  3. 다말의 계략과 유다와의 관계(12절~23절)
  4. 다말의 임신과 유다의 태도 변화(24절~26절)
  5. 베레스와 세라의 출생(27절~30절)

유다의 결혼과 자녀 출생

요셉이 애굽에 팔려간 이야기가 끝난 직후, 유다는 형제들을 떠나 가나안 사람 히라의 집에 머무르게 되고, 가나안 여인 수아의 딸과 결혼하여 엘, 오난, 셀라 세 아들을 낳는다.

이 장면은 유다가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서 이방인과 결혼하고 그 문화 속에 쉽게 동화되어 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후에 다말 사건에서 드러나는 도덕적 무감각과도 연결된다.

다말의 시집살이와 두 아들의 죽음

유다는 장남 엘을 다말과 결혼시켰지만, 엘이 “여호와 보시기에 악하므로” 하나님께서 그를 죽이신다. 유다는 당시 관습에 따라 둘째 오난에게 형수에게서 자손을 이어주라 명하지만, 오난은 자손이 자기 것이 되지 않을 것을 알고 고의로 임신을 피한다. 이에 하나님께서 오난도 죽이신다.

유다는 막내 셀라가 아직 어리다는 이유로 다말을 친정으로 돌려보내지만, 사실상 더 이상 며느리를 가문에 받아들이고 싶어 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는 다말을 철저히 외면한 것이며, 약속을 지키지 않음으로써 큰 불의가 된다.

다말의 계략과 유다와의 관계

셋째 셀라가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유다가 다말을 다시 불러들이지 않자, 다말은 직접 행동에 나선다. 시아버지 유다가 양털 깎으러 올라간다는 소식을 듣고, 과부의 옷을 벗고 얼굴을 가린 채 창녀처럼 꾸며 길가에 앉는다.

유다는 그녀를 알아보지 못하고 관계를 맺고, 대가로 염소 새끼를 약속하며 담보로 자신의 도장, 끈, 지팡이를 맡긴다. 다말은 유다가 떠난 뒤 다시 과부의 옷으로 갈아입고 돌아간다. 이 장면은 다말의 적극적인 행동이 단순한 유혹이 아니라, 언약 계보를 지키기 위한 절박한 선택이었음을 암시한다.

다말의 임신과 유다의 태도 변화

다말이 임신했다는 소식을 들은 유다는, 그녀가 부정하게 살았다고 여겨 “불사르라” 명령한다. 하지만 다말은 유다가 맡겼던 담보물들을 보여주며, “이 물건들의 임자가 바로 아이의 아버지입니다”라고 말한다.

이를 통해 유다는 모든 진실을 깨닫고 “그녀가 나보다 옳도다”라고 고백하며, 다시는 그녀를 가까이하지 않는다. 유다는 자신의 불의와 약속을 지키지 않은 죄를 인정하고, 다말의 행동이 의로운 목적을 위한 것이었음을 받아들인다.

이 장면은 유다의 인격과 신앙에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는 순간이다. 그는 이후 요셉 이야기에서 동생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려는 모습으로 크게 변화된 인물로 등장한다.

베레스와 세라의 출생

다말은 쌍둥이를 낳는다. 먼저 손을 내밀었던 아이는 세라였지만, 실제로 먼저 태어난 아이는 베레스였다. 이들은 단지 유다의 아들일 뿐만 아니라, 후에 다윗 왕과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에 오르게 된다(마태복음 1장).

이 반전은 하나님의 언약이 인간의 질서나 도덕적 완벽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과 은혜로 성취된다는 것을 상징한다.

결론

창세기 38장은 인간의 부끄럽고 복잡한 이야기 속에서도 하나님의 구속사는 결코 멈추지 않는다는 사실을 선포한다. 유다의 타락과 다말의 절박함, 그리고 그 결과로 태어난 베레스의 계보는 모두, 하나님께서 언약을 이루시기 위해 어떤 상황에서도 역사하신다는 증거이다.

이 장은 또한 회개의 가능성과 변화의 시작을 보여준다. 유다는 죄를 인정하고 돌이키는 사람으로 바뀌며, 다말은 주변의 무책임함 속에서도 믿음의 계보를 지키는 여인으로 존중받는다. 하나님은 인간의 실수조차도 자신의 뜻을 이루는 도구로 사용하시는 분이심을 깊이 있게 묵상하게 하는 말씀이다.

 

창세기 요약

 

반응형

'성경연구 > 성경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 40장 해석  (0) 2025.04.02
창세기 39장 해석  (0) 2025.04.02
창세기 37장 해석  (0) 2025.04.02
창세기 36장 해석  (0) 2025.04.02
창세기 35장 해석  (0) 2025.04.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