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연구/성경강해1571

민수기 26장 해석

새로운 시작을 위한 공동체의 재정비본문 요약민수기 26장은 광야에서 새로운 세대를 향한 하나님의 준비 작업으로서, 두 번째 인구 조사를 기록합니다. 출애굽 당시 세대가 광야에서 사라진 후, 이제 가나안 정복을 앞둔 새 세대를 정비하며 각 지파별 인구 수를 세고, 그에 따라 땅 분배의 기준을 마련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언약을 계속 이루어가시는 과정이자, 믿음의 공동체가 새로운 사명을 위해 다시 정비되는 중요한 전환점입니다.본문의 구조두 번째 인구 조사 명령과 그 목적 (1~4절)각 지파별 인구 조사와 계보 기록 (5~51절)땅 분배의 원칙과 레위 지파의 구분 (52~65절)두 번째 인구 조사 명령과 그 목적 (1~4절)“전염병 후에 여호와께서 모세와 제사장 엘르아살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이스라엘 자손의 ..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4. 6.

민수기 25장 해석

축복의 뒤편에서 벌어진 은밀한 타락본문 요약민수기 25장은 발람의 축복 이후, 이스라엘 백성이 모압 여인들과 음행하고 우상 숭배에 빠지는 사건을 다룹니다. 이는 단순한 도덕적 타락을 넘어 하나님과의 언약을 깨뜨리는 심각한 영적 배신이었으며, 하나님은 이를 심판하십니다. 그 가운데 비느하스의 열정적 개입은 하나님의 진노를 멈추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고, 거룩함을 지키려는 열심이 하나님의 언약을 다시 세우는 통로가 됩니다.본문의 구조이스라엘의 음행과 바알브올 숭배 (1~3절)하나님의 진노와 지도자의 처벌 명령 (4~5절)비느하스의 질투심과 하나님의 칭찬 (6~15절)전염병의 수습과 피투성이 언약의 회복 (16~18절)이스라엘의 음행과 바알브올 숭배 (1~3절)“이스라엘이 싯딤에 거주할 때에 백성이 모압 여자들..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4. 6.

민수기 24장 해석

저주는 꺾이고, 축복은 이어진다본문 요약민수기 24장은 발람이 마지막으로 발락 앞에서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뜻을 선포하는 장입니다. 그는 세 번째 축복과 함께, 장차 이스라엘을 통해 일어날 하나님의 구속 역사에 대한 예언까지 담아 선포합니다. 하나님께서 택하신 자를 향한 저주는 끝내 허락되지 않았고, 오히려 그들을 통해 주변 민족들이 심판받고 하나님의 계획이 성취될 것을 알리는 선언이 이어집니다.본문의 구조세 번째 축복 – 아름답게 세워진 하나님의 백성 (1~9절)발락의 분노와 발람의 해명 (10~14절)발람의 예언 – 이스라엘의 승리와 이방 민족들의 몰락 (15~25절)세 번째 축복 – 아름답게 세워진 하나님의 백성 (1~9절)이전까지는 어느 정도 제사의 형식과 제단을 통해 하나님의 뜻을 구했던 발..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4. 6.

민수기 23장 해석

하나님의 입을 통해 흘러나오는 뜻밖의 축복본문 요약민수기 23장은 발람이 이스라엘을 저주하기 위해 세 번에 걸쳐 시도하지만, 하나님께서 그의 입술을 주장하심으로 인해 오히려 축복을 선포하게 되는 사건을 담고 있습니다. 이 장은 하나님이 자신의 백성을 지키시며, 아무리 인간이 저주하려 해도 하나님의 뜻 앞에서는 그것이 복으로 바뀔 수밖에 없음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강력한 메시지입니다.본문의 구조첫 번째 축복 – 하나님의 구별된 백성 (1~12절)두 번째 축복 – 변하지 않는 하나님의 약속 (13~26절)발락의 절망과 하나님의 뜻의 확고함 (27~30절)첫 번째 축복 – 하나님의 구별된 백성 (1~12절)발락은 발람을 데리고 “이스라엘 백성의 극히 일부만 보이는 곳”(23:13)으로 옮겨 그들을 저주하게 합니..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4. 6.

민수기 22장 해석

하나님의 주권 앞에 무너지는 세상의 저주본문 요약민수기 22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모압 평지에 진을 치게 되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다룹니다. 모압 왕 발락은 이스라엘의 강성함을 두려워하여 이방의 선지자 발람을 불러 저주하게 하려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이를 막으시고, 발람에게 하나님의 뜻만을 말하게 하십니다. 이 과정은 하나님의 백성을 향한 하나님의 보호와, 하나님의 뜻을 거스를 수 없는 주권이 어떻게 역사하는지를 분명히 보여줍니다.본문의 구조모압 왕 발락의 두려움과 발람 초청 (1~14절)하나님이 발람에게 나타나신 첫 번째 응답 (15~20절)발람의 나귀 사건과 하나님의 책망 (21~35절)발락과 발람의 첫 만남 (36~41절)모압 왕 발락의 두려움과 발람 초청 (1~14절)이스라엘이 아모리 왕 시혼과 ..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