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5 : 1 ~ 2 절 묵상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받은 존재
본문 요약
창세기 5장 1절부터 2절은 아담의 계보를 시작하며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하신 근본적인 목적과 질서를 다시 한번 요약합니다. 하나님은 사람을 자신의 형상대로 창조하시고,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여 복을 주시며 그들을 사람이라 이름 지으셨습니다. 이 짧은 두 구절은 인간 존재의 본질과 하나님의 뜻이 처음부터 어떠했는지를 다시 확인시키며, 타락과 죄의 역사 속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하나님의 형상과 복의 선언을 보여줍니다.
본문의 구조
- 아담의 계보 시작 선언 (5:1)
-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인간 (5:1)
- 남자와 여자를 복 주시고 이름 지으신 하나님 (5:2)
아담의 계보 시작 선언 (5:1)
“이것은 아담의 계보를 적은 책이니라”라는 문장으로 5장이 시작됩니다. 이 구절은 단순한 족보의 시작이 아니라 성경 전체의 흐름 속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는 문장입니다. 앞선 장들에서 인간은 창조되고 타락하며, 가인과 아벨의 이야기, 셋의 출생을 거쳐 흘러왔고, 이제 하나님은 다시 아담의 계보를 통해 구속의 역사를 잇고자 하십니다. ‘계보’라는 말은 단순한 가계나 출생 기록이 아니라 하나님의 구속사가 사람을 통해 어떻게 흘러가는지를 보여주는 거룩한 시간의 흐름입니다. 하나님은 시간을 통해 역사하시며, 사람을 통해 일하십니다. 인간은 단지 이 땅을 살아가는 존재가 아니라, 하나님의 계획 안에서 구속의 계보를 이어가는 중요한 연결점입니다. 하나님은 역사를 끌고 가시는 분이시며, 사람을 통해 그 뜻을 성취하십니다. 족보라는 형식은 때로 단조롭게 느껴질 수 있지만, 그 안에는 하나님의 인내와 계획, 그리고 인간을 향한 멈추지 않는 사랑이 담겨 있습니다. 아담의 계보를 시작하며 다시 하나님은 사람을 창조하신 이유를 반복하십니다. 타락 이후 세상이 죄로 물들어도 하나님은 사람을 통해 여전히 구원의 역사를 이어가십니다. 죄의 장면이 반복되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하나님의 시선은 항상 그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사람을 찾고, 그 사람을 통해 길을 여시는 분입니다.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인간 (5:1)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하실 때에 하나님의 모양대로 지으시되”라는 말씀은 창세기 1장에서 주신 선언을 다시 반복하는 부분입니다. 이 말씀은 단지 과거의 사실을 회상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존재 이유를 다시 회복시키는 선언입니다. 인간은 단지 진화의 결과로 존재하는 생물이 아니라, 하나님이 그분의 형상을 따라 지으신 존귀한 피조물입니다.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았다는 말은 외형이 아니라 존재의 본질을 말합니다. 하나님을 닮은 존재로, 하나님의 성품과 뜻을 이 땅에 드러낼 수 있는 영적인 존재로 창조되었다는 뜻입니다. 이는 인간이 단지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살아가며 무엇을 반영하는지를 말해줍니다.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인간은 그분의 성품과 뜻을 세상 가운데 나타낼 책임이 있으며, 그러한 정체성 안에서만 온전한 존재로 설 수 있습니다. 죄가 들어오고, 타락이 있었으며, 인간은 그 형상을 온전히 보존하지 못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여전히 사람을 향해 “내 형상대로 지은 자”라고 부르십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사랑과 기대가 끊기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인간의 죄가 그 형상을 훼손할 수는 있어도, 하나님의 선언을 지워버릴 수는 없습니다. 하나님은 여전히 사람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이 드러나기를 원하십니다. 이 말씀은 죄로 인한 인간의 추락 이후에도 변하지 않는 하나님의 눈길을 다시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인간은 실패했지만, 하나님은 포기하지 않으십니다. 그분의 형상대로 지은 존재를 끝까지 붙드시며, 회복의 길로 이끄시는 분이 바로 하나님이십니다.
남자와 여자를 복 주시고 이름 지으신 하나님 (5:2)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셨고 그들이 창조되던 날에 그들에게 복을 주시고 그들의 이름을 사람이라 일컬으셨더라” 이 구절은 창조의 완성으로서 사람의 존재를 다시 한번 확증해 줍니다. 하나님은 인간을 남자와 여자로 지으셨습니다. 이는 단지 성별의 구분이 아니라, 관계적 존재로서 인간을 설계하셨다는 의미입니다. 남자와 여자는 서로를 보완하며 함께 하나님 형상의 풍성함을 드러내도록 창조되었습니다. 인간은 본래 관계 안에서 살아가도록 지어진 존재이며, 그 관계의 중심에 하나님이 계셔야만 온전한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에게 복을 주셨습니다. 이 복은 단지 물질적인 풍요나 번식의 능력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이 함께하시고, 그 뜻 안에서 살아가는 삶 자체가 복입니다. 인간은 창조의 순간부터 하나님의 축복 아래 놓인 존재였습니다.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셨다는 이 말씀은, 하나님의 뜻은 언제나 인간을 향해 선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강력한 진리입니다. 인간의 타락 이전에도, 그리고 타락 이후에도 하나님의 본심은 복을 주시는 것이었습니다. 또 하나님은 그들을 사람이라 일컬으셨습니다. ‘사람’이라는 이름은 하나님께서 인간을 부르신 공식적인 이름이며, 하나님의 뜻 안에서 정체성을 부여받은 존재로 살아갈 것을 요구합니다. 이름을 부르신다는 것은 단지 부르는 행위가 아니라, 존재를 인정하고 관계를 시작하는 하나님의 행위입니다. 하나님은 사람을 단지 창조하시고 끝내신 것이 아니라, 그 이름을 불러주심으로써 끝까지 기억하고 책임지시는 관계로 부르셨습니다. 하나님은 처음부터 사람을 관계의 대상으로 창조하셨고, 그 관계는 사랑과 신뢰, 복 주심 안에서 유지되어야 합니다. 창조주와 피조물 사이의 이 긴밀한 관계는 인간의 죄로 인해 흔들렸지만, 하나님의 부르심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결론
창세기 5장 1절과 2절은 아담의 계보를 시작하면서 하나님께서 사람을 창조하신 본래의 목적과 방향을 다시 한번 선명하게 보여주는 말씀입니다.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존재입니다. 남자와 여자로 창조된 인간은 하나님의 복을 받은 존재이며, 하나님이 직접 이름 지으신 특별한 피조물입니다. 타락 이후 죄가 만연해지고, 인간의 삶이 혼돈과 고통 속에 들어섰다 하더라도, 하나님은 사람을 향한 원래의 계획을 포기하지 않으십니다. 오히려 족보를 통해 그분의 구속 이야기를 이어가시며, 끊어진 것처럼 보이는 인류의 계보 속에서 다시 생명의 이야기를 써 내려가십니다. 하나님의 형상은 단지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오늘 우리 삶의 정체성이 되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우리는 하나님의 뜻과 성품을 반영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복은 하나님과 함께 있는 삶 그 자체이며, 하나님의 이름 아래 살아갈 때에만 우리는 진짜 사람으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창세기 5장 1절과 2절은 족보라는 형식을 통해 하나님께서 역사를 이끌어 가시는 방식, 사람을 향한 끈질긴 사랑, 그리고 복 주시는 하나님의 본심을 다시금 확인하게 하는 말씀입니다. 이 말씀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께서 여전히 사람을 기억하시고, 부르시며, 그 형상을 따라 살아가기를 원하신다는 사실을 마음 깊이 새겨야 합니다. 하나님은 여전히 사람을 통해 일하시며, 그분의 형상은 지금도 우리 안에 살아 있습니다.
창세기 요약
'성경연구 > 성경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 6 : 1 ~ 7 절 묵상 (0) | 2025.03.28 |
---|---|
창세기 5 : 3 ~ 32 절 묵상 (0) | 2025.03.28 |
창세기 4 : 25 ~ 26 절 묵상 (0) | 2025.03.28 |
창세기 4 : 17 ~ 24 절 묵상 (0) | 2025.03.28 |
창세기 4 : 1 ~ 16 절 묵상 (0) | 2025.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