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15장 해석
홍해를 건너 부른 찬양, 여호와는 구원의 하나님이시다
본문 요약
출애굽기 15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의 기적적인 구원을 경험한 후 부른 찬양과, 그들이 광야 여정 중 마라에서 만난 쓴 물 사건을 다룹니다. 모세와 미리암을 중심으로 드려진 이 찬양은 하나님의 능력, 구원, 통치를 노래하며, 이스라엘 공동체가 하나님을 어떻게 인식하고 경배했는지를 보여줍니다. 또한 쓴 물을 단물로 바꾸신 하나님은 백성의 육체적 필요뿐 아니라 영적 훈련의 시작도 함께 보여주십니다.
본문의 구조
- 모세와 이스라엘의 찬양 (1절~21절)
- 마라에서 쓴 물을 단물로 바꾸심 (22절~26절)
- 엘림에서 쉼을 얻음 (27절)
모세와 이스라엘의 찬양 (1절~21절)
홍해의 기적적인 건넌 후, 이스라엘 백성은 모세를 중심으로 하나님께 찬양을 드립니다. “이 때에 모세와 이스라엘 자손이 이 노래로 여호와께 노래하니라 이르되 내가 여호와를 찬송하리니 그는 높고 영화로우심이요 말과 그 탄 자를 바다에 던지셨음이로다”라는 구절로 시작되는 이 노래는 하나님의 구원의 행위를 기념하며, 전쟁의 승리자가 하나님이심을 찬양합니다. 백성은 그분을 찬양할 이유가 넘치고, 하나님은 단지 위기에서 건져주신 분이 아니라, 자신들의 삶 전체를 맡겨드릴 수 있는 구원의 능력자이심을 노래합니다.
“여호와는 나의 힘이요 노래시며 나의 구원이시로다 그는 나의 하나님이시니 내가 그를 찬송할 것이요 내 아버지의 하나님이시니 내가 그를 높이리로다”라는 고백은,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가 개인적이고도 역사적인 맥락 속에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분은 개인의 하나님이시기도 하고, 조상 대대로 이어온 언약의 하나님이시기도 합니다. 이어지는 찬양에서는 하나님이 원수들을 물리치시는 능력이 상세하게 묘사됩니다. “주의 오른손이 여호와여 권능으로 영광을 나타내시니이다 여호와여 주의 오른손이 원수를 부수시니이다”라는 말처럼, 하나님의 손은 전쟁에서 승리를 이끄는 상징으로 그려집니다.
이 노래의 중심에는 하나님께서 애굽의 군대, 병거와 마병을 바다에 던지시고 물이 그들을 덮어 한 사람도 남기지 않게 하신 사건이 있습니다. 백성은 “그들이 돌처럼 깊은 물에 잠겼도다”라고 노래하며, 하나님의 권능 앞에 무너진 애굽의 교만을 찬양합니다. 또 “주의 인자하심으로 주께서 구속하신 백성을 인도하시되 주의 힘으로 그들을 주의 거룩한 처소에 들어가게 하시나이다”라는 표현은 단순한 전투의 승리가 아닌, 하나님의 구속 역사의 연장선으로서 이 사건을 바라보는 신앙적 통찰을 보여줍니다.
이 찬양은 단지 감정의 분출이 아니라, 구체적인 하나님의 사역에 대한 응답입니다. “여호와는 영원무궁하도록 다스리시도다”라는 선언으로 이 찬양은 마무리되며, 단지 과거의 승리를 노래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이루어질 하나님의 통치를 선포하는 미래지향적인 신앙의 표현이 됩니다. 모세의 누이 미리암도 소고를 들고 여인들과 함께 나와 찬양하며 춤을 추는데, “여호와를 찬송하라 그는 높고 영화로우심이요 말과 그 탄 자를 바다에 던지셨음이로다”라는 반복된 후렴구를 통해 이 찬양은 온 공동체의 감사와 경배로 확산됩니다.
마라에서 쓴 물을 단물로 바꾸심 (22절~26절)
홍해의 기적 이후, 이스라엘은 수르 광야로 들어가 사흘 동안 길을 걸었지만 물을 찾지 못합니다. 그들이 도착한 곳은 마라라는 곳이었는데, 그 물은 너무 써서 마실 수 없었습니다. “백성이 모세에게 원망하여 이르되 우리가 무엇을 마실까 하매”라는 기록은, 인간이 기적을 경험하고도 다시 현실의 어려움 앞에서 얼마나 쉽게 불평하고 의심하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모세는 하나님께 부르짖고, 여호와께서는 그에게 한 나무를 지시하십니다. “그가 물에 던지니 물이 달게 되었더라”는 말씀은, 하나님의 명령과 순종을 통해 쓴 것이 변하여 달게 되는 기적의 장면을 보여줍니다. 이는 단순히 물리적인 기적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할 때 인간의 삶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입니다.
하나님은 이곳에서 백성과 언약을 세우시고,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아갈 조건을 주십니다. “너희가 너희 하나님 여호와의 말을 들어 순종하고 내가 보기에 의의를 행하며 내 계명에 귀를 기울이며 내 모든 규례를 지키면 내가 애굽 사람에게 내린 모든 질병 중 하나도 너희에게 내리지 아니하리니 나는 너희를 치료하는 여호와임이라”는 말씀은 하나님께서 단지 보호하시는 분이 아니라, 회복과 치유의 주권자이심을 분명히 하시는 선언입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이 단지 자유를 얻는 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살아가는 공동체로 세워지기를 원하셨습니다.
엘림에서 쉼을 얻음 (27절)
마라 사건 이후 이스라엘은 엘림이라는 곳에 도착합니다. “거기에 물 샘 열둘과 종려나무 일흔 그루가 있는지라”는 기록은, 광야 속에서도 하나님께서 예비하신 안식처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광야의 시련을 통해 백성을 연단하시지만, 결코 그들을 방치하지 않으시며 쉼의 자리로 이끄십니다. 엘림은 물과 나무가 풍성한 장소였고, 백성은 그곳에서 회복과 안정을 경험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인도하심이 고난만이 아닌 회복과 공급을 포함한 전인적인 여정임을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이스라엘의 여정은 마라에서 쓴 물을 마주하고, 그 쓴물을 단물로 바꾸시는 하나님의 능력을 경험하며, 다시 엘림에서 쉼을 누리는 구조를 통해, 신앙 여정이 늘 고난과 안식이 교차하는 반복적인 흐름 안에 있음을 보여줍니다. 중요한 것은 하나님께서 그 모든 상황 가운데 함께하시며, 백성을 그분의 뜻 가운데 이끄신다는 사실입니다.
결론
출애굽기 15장은 홍해를 건너며 이스라엘이 경험한 구원의 감격을 찬양으로 승화시킨 장이며, 그들이 실제로 광야의 현실 속에서 살아가는 법을 배우기 시작하는 영적 전환의 시작이기도 합니다. 모세와 백성은 하나님의 이름을 높이며 찬양을 통해 그분의 능력과 구속하심, 통치를 선포합니다. 이 찬양은 과거의 구원을 기억하고 현재의 삶에 신뢰를 두며, 앞으로의 여정 속에서도 하나님이 동일하게 역사하실 것을 기대하는 믿음의 노래입니다.
하지만 곧 이어지는 마라의 시험은 인간의 연약함을 다시 보여줍니다. 기적을 보았어도 금세 현실의 어려움 앞에서 불평하고 낙담하는 인간의 모습은 지금 우리의 모습과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해답을 주시고, 쓴 물을 단물로 바꾸시며 백성을 향한 사랑과 인내를 드러내십니다. 이어 엘림에서의 쉼은 하나님의 공급과 회복의 은혜를 체험하는 시간입니다.
이 장은 찬양과 훈련, 위기와 치유, 고난과 회복이 교차하는 여정 속에서 하나님의 백성이 어떻게 자라가야 하는지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의 구원은 사건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찬양으로 기억되고 순종으로 이어지며, 고난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공급을 신뢰하게 만드는 여정입니다. 홍해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며, 찬양은 승리의 외침이면서 동시에 앞으로의 여정에 대한 다짐입니다. 하나님은 자신을 찬양하는 자와, 고난 가운데 순종하는 자를 결코 외면하지 않으십니다.
출애굽기 요약
'성경연구 > 성경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애굽기 17장 해석 (0) | 2025.04.03 |
---|---|
출애굽기 16장 해석 (0) | 2025.04.03 |
출애굽기 14장 해석 (0) | 2025.04.03 |
출애굽기 13장 해석 (0) | 2025.04.03 |
출애굽기 12장 해석 (0) | 2025.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