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연구1898

다니엘 8장 묵상

세상의 권세와 하나님의 주권본문 요약다니엘은 수산성에서 환상을 보는데, 한 숫양이 강가에서 자라며 큰 힘을 발휘한다. 그러나 곧 숫염소가 나타나 숫양을 공격하여 쓰러뜨리고 강력한 뿔을 가진 지도자가 등장한다. 그러나 그 뿔이 꺾이고 네 개의 작은 뿔이 나와 권세를 잡는다. 그중 하나의 작은 뿔이 더욱 강해지며 성소를 모독하고 진리를 땅에 던진다. 다니엘은 이 환상의 의미를 알기 위해 기도하고, 가브리엘 천사는 숫양이 메대와 바사(페르시아) 제국을, 숫염소가 헬라(그리스) 제국을 상징한다고 설명한다. 큰 뿔은 알렉산더 대왕을 의미하며, 네 개의 작은 뿔은 그의 죽음 후 왕국을 나눈 네 명의 장군들을 뜻한다. 작은 뿔은 후에 성전을 더럽히고 하나님을 대적할 악한 통치자를 상징한다. 이 환상은 결국 하나님의 ..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3. 9.

다니엘 7장 묵상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본문 요약다니엘은 밤에 환상을 보는데, 네 큰 짐승이 바다에서 나오는 장면을 본다. 첫째 짐승은 사자 같고 독수리 날개가 달려 있었으며, 둘째는 곰 같았고 셋째는 표범 같고 네 개의 날개를 가졌다. 넷째 짐승은 매우 강력하고 무서운 존재로 철 이빨을 가졌으며, 열 뿔이 있었는데 그 중 작은 뿔 하나가 나와 세 뿔을 뽑고 스스로 높아진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심판하시고, ‘인자 같은 이’가 등장하여 영원한 나라를 세우신다. 다니엘은 환상의 의미를 알고 싶어하며, 천사가 네 짐승이 네 나라를 뜻한다고 해석해준다. 결국 하나님의 성도들이 왕국을 영원히 소유하게 될 것을 보여준다.본문의 구조네 짐승의 환상 (1~8절)하나님의 심판과 인자 같은 이 (9~14절)환상의 해석과 성도의 승리 (15~..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3. 9.

다니엘 6장 묵상

신실한 믿음과 하나님의 보호본문 요약다리오 왕은 다니엘을 총리로 세우려 하지만, 이를 시기한 관리들이 그를 모함하기 위해 왕 외에 다른 신이나 사람에게 기도하면 사자 굴에 던져진다는 법을 만든다. 다니엘은 이 법을 알고도 변함없이 하루 세 번 하나님께 기도하며 믿음을 지킨다. 결국 그는 사자 굴에 던져지지만, 하나님께서 천사를 보내어 사자의 입을 막으신다. 다음 날 왕이 그를 걱정하며 찾아가자, 다니엘은 하나님이 자신을 지키셨다고 말한다. 이에 왕은 다니엘을 모함한 자들을 사자 굴에 던지고, 온 나라에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선포한다.본문의 구조다니엘에 대한 모함과 금령의 선포 (1~9절)다니엘의 기도와 사자 굴에 던져짐 (10~17절)하나님의 구원과 왕의 선포 (18~28절)다니엘에 대한 모함과 금령의 선..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3. 9.

다니엘 5장 묵상

교만한 왕과 하나님의 심판본문 요약벨사살 왕은 큰 잔치를 열고 바벨론이 멸망 직전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을 무시하며 성전의 거룩한 기물로 술을 마시며 우상을 찬양한다. 그 순간 벽에 손가락이 나타나 글씨를 쓰고, 왕과 신하들은 두려움에 빠진다. 왕의 지혜자들은 해석하지 못하지만, 왕비의 권유로 다니엘이 불려온다. 다니엘은 왕에게 느부갓네살 왕의 교훈을 상기시키며, 벨사살이 하나님을 무시한 죄를 지적한다. 벽의 글자는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으로, 왕의 나라가 하나님에 의해 심판받아 메대와 바사에게 넘겨질 것이라는 의미였다. 그날 밤 바벨론은 함락되고 벨사살 왕은 죽임을 당하며, 하나님의 말씀은 그대로 이루어진다.본문의 구조벨사살 왕의 교만과 신성모독 (1~9절)다니엘의 해석과 하나님의 경고 (10~28..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3. 9.

다니엘 4장 묵상

교만을 낮추시고 회복하시는 하나님본문 요약느부갓네살 왕은 하나님의 크신 능력을 찬양하며 자신의 경험을 전한다. 그는 한 꿈을 꾸는데, 거대한 나무가 무성하게 자라 많은 생명체들에게 그늘을 제공하지만, 하늘의 파수꾼이 내려와 그 나무를 찍어버리라고 명령한다. 다니엘은 이 꿈을 해석하며 왕이 교만하여 하나님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으면 사람들에게서 쫓겨나 짐승처럼 살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그러나 왕은 여전히 교만한 태도를 유지하다가 하나님의 말씀대로 미쳐서 들짐승처럼 살게 된다. 시간이 지난 후, 왕이 하나님을 인정하고 겸손히 회개하자 그의 이성과 나라가 회복되고, 그는 다시 왕위에 오르게 된다. 이 경험을 통해 느부갓네살은 하나님이 모든 나라를 다스리시는 주권자이심을 선포한다.본문의 구조느부갓네살의 꿈과 ..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