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연구1898

시편 116편 묵상

하나님께서 내 기도를 들으셨으므로본문 요약시편 116편은 하나님의 은혜를 깊이 경험한 시인의 고백입니다. 시인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기도를 들으셨기에 하나님을 사랑한다고 선언하며, 자신이 극심한 고통과 죽음의 위기 속에서도 하나님을 불렀고, 하나님께서 응답하셔서 구원해 주셨다고 고백합니다. 그는 하나님께서 얼마나 자비롭고 의로우신 분이신지를 증거하며, 다시 평안을 되찾았음을 노래합니다. 하나님께 받은 은혜를 어떻게 보답할 것인가를 고민하며 감사의 잔을 들고 하나님께 서원한 것을 갚겠다고 다짐합니다. 그는 하나님을 신뢰하며, 하나님 앞에서 살아갈 것을 결단하며 시편을 마무리합니다.본문의 구조하나님께서 내 기도를 들으셨음 (1-4절)하나님께서 나를 구원하셨음 (5-11절)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감사와 헌신 (1..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2. 9.

시편 115편 묵상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본문 요약시편 115편은 하나님께 모든 영광을 돌리며, 사람이나 우상이 아닌 하나님만을 신뢰할 것을 강조하는 시편입니다. 시인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 인간의 공로가 아니라 하나님의 인자하심과 진실하심 때문임을 선포합니다. 이어서 우상의 헛됨을 조롱하며, 그것들이 아무런 능력이 없음을 강조합니다. 반면에 하나님은 살아 계시며, 그의 백성을 돌보시고 복을 주시는 분이십니다. 시인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나님을 신뢰할 것을 권면하며, 하나님을 의지하는 자들에게 복이 임할 것임을 선포합니다. 마지막으로 시인은 모든 살아 있는 자들이 하나님을 찬양해야 함을 선언하며 시편을 마무리합니다.본문의 구조하나님께 영광을 돌려라 (1절)우상의 무능함과 하나님의 위대하심 (2-8절)하나님을 신뢰하는 ..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2. 9.

시편 114편 묵상

하나님께서 다스리시는 자연과 역사본문 요약시편 114편은 이스라엘이 애굽에서 나올 때 하나님께서 어떻게 자연을 움직이시며 그들을 인도하셨는지를 노래하는 시편입니다. 시인은 출애굽 사건을 상기하며,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을 위해 바다와 강을 가르시고, 산과 언덕을 흔드셨다고 찬양합니다.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백성이 되었을 때 자연도 그 앞에서 떨었으며, 바위에서 물이 나오는 기적을 통해 하나님의 능력이 드러났음을 강조합니다. 이 시편은 하나님이 창조주이시며, 역사를 주관하시는 분이심을 선포하는 동시에, 하나님의 임재 앞에서 온 세상이 반응해야 함을 보여줍니다.본문의 구조출애굽과 하나님의 임재 (1-2절)자연의 반응과 하나님의 능력 (3-6절)하나님의 기적과 경외함 (7-8절)출애굽과 하나님의 임재시편 114편..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2. 9.

시편 113편 묵상

높으신 하나님, 낮은 자를 돌보시는 하나님본문 요약시편 113편은 하나님의 위대하심과 자비로우심을 찬양하는 시입니다. 이 시편은 “할렐루야”라는 찬양의 외침으로 시작되며, 하나님의 이름이 영원토록 찬양받아야 함을 선포합니다. 하나님은 온 우주를 다스리시는 높으신 분이지만, 동시에 낮은 자들을 돌보시고 가난한 자들을 일으키시는 사랑의 하나님이십니다. 그분은 높은 곳에 앉으셔서 온 세상을 다스리시지만, 천한 자를 들어 올리고, 마땅히 자녀를 가질 수 없었던 여인을 기쁨으로 채워 주십니다. 시편 113편은 하나님의 주권과 사랑을 강조하며, 그분을 찬양하는 것이 마땅한 일임을 선포합니다.본문의 구조하나님의 이름을 찬양하라 (1-3절)높으신 하나님, 그러나 낮은 자를 돌보시는 하나님 (4-6절)가난한 자를 높이시..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2. 9.

시편 112편 묵상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의 복된 삶본문 요약시편 112편은 하나님을 경외하며 그의 계명을 즐거워하는 자가 누리는 복에 대해 선포하는 시입니다. 이 시편은 하나님을 찬양하는 선언으로 시작하며,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에게 약속된 축복들을 구체적으로 나열합니다. 경건한 자의 자손은 강성해지고, 그의 집에는 부요와 의가 있으며, 그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담대합니다. 또한 그는 인자하고 자비로우며, 가난한 자들에게 베푸는 삶을 살아갑니다. 하나님을 신뢰하는 자는 환난 속에서도 두려워하지 않고 흔들리지 않으며, 결국 그의 의는 영원히 기억됩니다. 그러나 악인은 이 모습을 보고 분노하며 그의 욕망이 사라질 것임을 시인은 강조합니다. 이 시편은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의 삶이 얼마나 복된 것인지, 그리고 그의 삶이..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