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7장 묵상
율법과 죄,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서의 자유
본문 요약
로마서 7장은 율법과 죄의 관계, 그리고 인간이 겪는 내적 갈등을 설명합니다. 바울은 율법이 죄를 깨닫게 하지만 인간을 구원할 수는 없다고 말합니다. 그리스도를 믿는 우리는 율법에서 해방되었고, 이제는 새로운 생명의 길로 하나님을 섬겨야 합니다. 그러나 여전히 내면에서는 죄의 법이 작용하며, 선을 행하고 싶어도 악이 함께 역사하는 현실을 경험합니다. 바울은 자신의 연약함을 고백하며, 죄의 법에서 벗어나려 하지만 스스로 해결할 수 없음을 깨닫습니다. 결국 그는 자신을 건져내실 분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뿐임을 선언하며, 율법 아래에서의 갈등을 극복하는 길이 오직 그리스도께 있음을 강조합니다.
본문의 구조
- 율법에서의 해방 (1~6절)
- 율법과 죄의 관계 (7~13절)
- 내적 갈등과 죄의 법 (14~25절)
율법에서의 해방 (1~6절)
바울은 율법이 인간을 지배하는 것이 죽을 때까지라고 말합니다. 마치 여자가 남편이 살아 있는 동안에는 율법에 매여 있지만, 남편이 죽으면 자유롭게 되는 것처럼, 신자는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기 때문에 율법의 속박에서 벗어났습니다. 이제는 옛 삶을 따라 율법 아래서 사는 것이 아니라, 성령의 새로운 길을 따라 살아야 합니다. 율법은 본래 거룩한 것이지만, 우리를 참된 생명으로 인도하지 못하며, 오히려 죄를 깨닫게 할 뿐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더 이상 율법에 얽매이지 않고, 그리스도를 통해 자유롭게 되어야 합니다.
율법과 죄의 관계 (7~13절)
바울은 율법이 죄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율법 자체는 거룩하고 의로우며 선하다고 설명합니다. 그러나 율법이 없었다면 죄를 알지 못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탐내지 말라"는 계명이 없었다면 탐심이 죄인지 알지 못했을 것입니다. 율법은 죄를 깨닫게 하는 역할을 하지만, 인간이 율법을 통해 스스로 의롭게 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오히려 율법이 있기에 죄가 더욱 강하게 역사하며, 결국 사람을 사망에 이르게 합니다. 그러므로 율법은 죄 자체는 아니지만, 죄를 드러내고 죄가 더욱 왕성하게 작용하는 도구가 됩니다.
내적 갈등과 죄의 법 (14~25절)
바울은 자신이 율법은 영적인 것이지만, 자신은 육신에 속하여 죄 아래 팔린 자라고 고백합니다. 그는 선을 행하고자 하지만, 실제로는 악을 행하는 자신을 발견합니다. 마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즐거워하지만, 육신은 죄의 법에 사로잡혀 있는 것입니다. 그는 내면에서 두 개의 법이 싸우고 있음을 절실하게 느낍니다. 한편으로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고 싶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죄의 법이 강하게 작용하여 자신을 사로잡습니다. 결국 그는 "오호라, 나는 곤고한 사람이로다!"라고 탄식하며, 자신을 이 사망의 몸에서 건져낼 분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뿐임을 고백합니다.
율법은 인간을 구원할 수 없습니다
율법은 선하고 거룩한 것이지만, 인간을 구원할 능력이 없습니다. 율법은 죄를 깨닫게 하는 역할을 하지만, 죄를 해결하지는 못합니다. 오히려 인간은 율법을 통해 자신의 죄성을 더 깊이 깨닫게 됩니다. 율법을 아무리 지키려 해도 인간은 본질적으로 죄인이기 때문에, 율법을 완벽하게 따를 수 없습니다. 바울도 율법을 철저히 따르는 유대인이었지만, 결국 그는 율법이 자신을 구원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율법을 통해 의를 얻으려 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구원의 길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께 있습니다.
죄와의 싸움은 계속됩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은 후에도 우리의 내면에서는 여전히 죄와의 싸움이 계속됩니다. 바울은 마음으로는 하나님의 뜻을 따르고 싶지만, 육신은 여전히 죄에 끌려가는 자신을 발견합니다. 이 갈등은 모든 신자가 경험하는 것입니다. 신앙을 가지면 죄에서 완전히 자유로워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죄와 더 치열한 싸움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 싸움을 혼자 감당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우리의 힘으로는 죄를 이길 수 없지만, 예수 그리스도를 의지할 때 승리할 수 있습니다.
해결책은 예수 그리스도뿐입니다
바울은 자신의 내면의 갈등을 깊이 고백하면서, 결국 예수 그리스도께서 유일한 해결책임을 선포합니다. 인간의 힘으로는 결코 죄를 이길 수 없으며, 율법도 인간을 구원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우리를 죄와 사망의 법에서 해방시키시는 분이십니다. 바울은 자신의 무력함을 철저히 인정한 후, 감사의 고백을 합니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감사하리로다!" 이 고백은 모든 신자가 가져야 할 고백입니다. 죄의 힘이 강하게 작용하지만, 예수님을 의지할 때 우리는 죄에서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결론
로마서 7장은 율법과 죄, 그리고 인간 내면의 갈등을 보여줍니다. 율법은 죄를 깨닫게 하지만, 인간을 구원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율법을 지키려 해도 결국 죄의 본성에 사로잡혀 넘어질 수밖에 없는 존재입니다. 바울도 자신의 내면에서 하나님의 뜻을 따르고 싶어 하지만, 죄의 법이 강하게 작용하여 자신을 억누르는 것을 경험합니다. 그러나 이 절망 속에서 그는 예수 그리스도께 희망을 발견합니다. 오직 예수 그리스도께서만 우리를 죄와 사망의 법에서 해방시키실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신자는 율법의 행위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을 얻고, 죄의 법에서 자유로운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로마서 장별 요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