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2 : 18 ~ 25 절 묵상
하나님이 지으신 돕는 배필
본문 요약
창세기 2장 18절부터 25절은 하나님께서 사람을 홀로 두시는 것이 좋지 않다고 하시며, 그에게 돕는 배필을 지어 주시는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아담에게 동물들의 이름을 짓게 하시며 그 가운데 아무도 적합한 배필이 없음을 드러내시고, 결국 여자를 지으시어 아담에게 데려오십니다. 아담은 그녀를 보고 기뻐하며 자신과 하나임을 고백하고, 이로 인해 사람이 부모를 떠나 아내와 연합하여 한 몸을 이루는 근거가 제시됩니다. 본문은 인간 존재의 관계성과 결혼의 기원을 보여주는 중요한 말씀입니다.
본문의 구조
- 사람의 고독과 하나님의 뜻 (18절)
- 짝 없는 존재로서의 인식 (19절~20절)
- 돕는 배필의 창조와 연합 (21절~25절)
사람의 고독과 하나님의 뜻 (18절)
“여호와 하나님이 이르시되 사람이 혼자 사는 것이 좋지 아니하니 내가 그를 위하여 돕는 배필을 지으리라 하시니라”는 말씀은 창조 이야기 속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좋지 아니하다’는 표현입니다. 앞선 창조의 날들마다 하나님은 “보시기에 좋았더라” 말씀하셨지만, 이 장면에서 하나님은 사람의 고독을 ‘좋지 않다’고 하십니다. 이는 인간이 단순히 존재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을 드러냅니다.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인간은 본질적으로 관계적인 존재입니다. 혼자서는 온전하지 않으며,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존재가 필요합니다. 하나님은 인간이 홀로 살아가는 것을 원하시지 않으셨습니다. 혼자 있는 아담의 모습은 창조 세계의 질서 안에서 유일하게 불완전한 상태로 드러납니다. 하나님은 아담에게 단지 동반자가 아닌 ‘돕는 배필’을 지어주신다고 말씀하십니다. 여기서 ‘돕다’라는 말은 열등한 자가 상위자를 섬기는 의미가 아니라, 성경에서 하나님 자신을 묘사할 때도 쓰이는 단어로, 필요한 때에 힘을 주고 함께하는 동반자를 뜻합니다. ‘배필’이라는 단어는 마주 서 있는 자, 상응하는 자, 즉 서로 대등하게 맞서는 존재를 의미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아담이 혼자 있을 때 비로소 완전한 창조가 아님을 밝히시고, 그에게 진정한 상대로서의 존재를 허락하십니다. 이는 인간이 단지 개별적으로 의미 있는 존재가 아니라, 함께 살아갈 때 더욱 온전해짐을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인간이 혼자 살아가는 것을 그냥 두지 않으시고, 관계 안에서 살아가도록 만드셨습니다. 사람은 혼자일 때 외로움으로 끝나는 존재가 아니라, 함께 살아갈 때 하나님 형상의 온전함을 드러내는 존재입니다.
짝 없는 존재로서의 인식 (19절~20절)
하나님은 아담에게 들짐승과 공중의 새를 그 앞으로 이끌어 오시고, 아담은 그 모든 생물에게 이름을 지었습니다. 이름을 짓는 행위는 단지 명명하는 행위가 아니라, 대상의 본질을 인식하고 다스릴 권위를 상징하는 행위입니다. 하나님께서 아담에게 이 과정을 허락하신 이유는 단순히 동물의 이름을 정리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이 과정을 통해 아담 스스로가 자신의 고립된 상태를 깨닫도록 하기 위한 하나님의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아담은 모든 생물들을 살펴보지만, 그 가운데서 자신과 같은 존재, 즉 ‘돕는 배필’을 찾지 못합니다. 이는 사람은 동물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인간은 그저 생물학적으로 유사한 존재와 함께 있을 수 있는 존재가 아니라, 관계와 인격을 나눌 수 있는 존재를 필요로 합니다. 짝 없는 존재로서의 인식은 인간에게 외로움과 결핍을 느끼게 하지만, 동시에 진정한 만남의 가치를 더욱 분명히 하게 만듭니다. 아담은 스스로 부족함을 깨닫고, 그 부족함은 동물들로 채워질 수 없다는 사실을 경험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의도하신 교육의 과정입니다. 인간은 하나님 외의 어떤 피조물로도 자신의 존재적 결핍을 해결할 수 없으며, 하나님이 허락하신 진정한 관계 속에서만 그 갈증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이 장면은 모든 인간 관계의 기원이 단지 감정적 만족이나 사회적 필요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주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주신 본질적 필요에서 비롯된 것임을 보여줍니다. 사람은 혼자 살도록 만들어지지 않았고, 피조물 중에서 유일하게 사람과 사람이 서로를 채우며 살아가도록 지음 받았습니다.
돕는 배필의 창조와 연합 (21절~25절)
하나님은 아담을 깊이 잠들게 하시고, 그의 갈빗대 하나를 취하여 여자를 만드시고 그를 아담에게 데려오십니다. 이는 인간 창조 가운데서 가장 정밀하고도 인격적인 장면입니다. 하나님께서 여자를 만드신 방식은 단순한 창조 행위가 아니라 관계를 위한 세심한 준비였습니다. 여자는 아담의 머리에서 취하지 않았습니다. 지배받기 위함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또한 발에서 취하지 않았습니다. 종속되거나 짓밟히기 위함이 아닙니다. 대신 그의 갈빗대, 곧 심장 가까이에서 취한 것은 사랑과 보호, 동등한 위치에서 함께 살아갈 존재임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은 여자를 아담에게 데려오시며 인간 최초의 만남을 이루십니다. 아담은 그녀를 보고 기뻐하며 이렇게 말합니다. “이는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라.” 이 고백은 단지 감정적인 표현이 아니라, 그녀가 자신과 본질적으로 같은 존재임을 인정하고 환영하는 선언입니다. 그동안 수많은 피조물 가운데 짝을 찾지 못했던 아담이 이제 진정한 상대를 만나 기뻐하는 순간입니다. 이어지는 말씀에서 “이러므로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의 아내와 합하여 둘이 한 몸을 이룰지로다”라는 선언은 단지 아담과 하와의 관계를 넘어, 모든 인류의 결혼과 연합의 본질을 보여줍니다. 결혼은 혈연보다도 깊은 결합이며, 물리적 연합을 넘어 인격적 연합을 지향하는 것입니다. 서로를 향한 헌신과 사랑 속에서 한 몸을 이룬다는 이 표현은 부부 관계의 존엄함과 거룩함을 드러냅니다. 마지막으로 “그들이 벌거벗었으나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니라”는 말씀은 완전한 신뢰와 친밀함, 그리고 죄가 개입되지 않은 순수한 관계를 보여줍니다. 인간은 하나님 안에서 관계를 맺을 때, 서로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온전히 사랑할 수 있는 존재가 됩니다.
결론
창세기 2장 18절부터 25절의 말씀은 인간 존재의 본질이 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드러냅니다. 하나님께서 처음부터 사람을 홀로 있게 하지 않으셨다는 점은 인간이 독립적인 자아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며 서로를 통해 하나님의 형상을 드러내도록 지음 받았음을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단지 동반자가 아닌, 돕는 배필을 주심으로 사람과 사람이 어떻게 함께 살아가야 하는지를 보여주셨습니다. 그 관계는 종속이 아니라 상호적인 협력이며, 하나님의 뜻 안에서 주어진 사랑의 관계입니다. 짝 없는 상태를 스스로 인식하게 하시고, 여자를 아담에게 인격적으로 인도하신 하나님의 방식은 오늘날 인간 관계의 기초가 되어야 합니다. 특히 결혼 관계는 하나님께서 처음부터 의도하신 사랑과 연합의 완성된 형태입니다. 서로의 부족함을 채워주는 관계, 동일한 본질을 가진 존재로서 존중하고 사랑하는 관계, 하나님 안에서 하나 되어 살아가는 관계가 바로 하나님께서 지으신 인간 공동체의 모습입니다. 우리는 홀로 완전하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 주신 관계 안에서 서로를 돕고 사랑할 때, 우리는 비로소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살아가는 존재가 됩니다. 하나님이 만드신 돕는 배필은 그저 외로움을 달래는 존재가 아니라, 하나님의 형상을 더욱 온전히 드러내게 하는 선물입니다. 사람은 홀로 사는 것이 좋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그렇게 창조하지 않으셨기 때문입니다.
창세기 요약
'성경연구 > 성경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 3 : 8 ~ 13 절 묵상 (0) | 2025.03.28 |
---|---|
창세기 3 : 1 ~ 7 절 묵상 (0) | 2025.03.28 |
창세기 2 : 4 ~ 17 절 묵상 (0) | 2025.03.28 |
창세기 2 : 1 ~ 3 절 묵상 (0) | 2025.03.28 |
창세기 1 : 3 ~ 31 절 묵상 (0) | 2025.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