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50 : 15 ~ 21 절 묵상
진짜 용서는 두려움을 이긴다
본문 요약
야곱이 죽은 후, 요셉의 형제들은 자신들이 과거에 저지른 죄에 대해 요셉이 복수할까 두려워합니다. 그래서 중재자를 통해 용서를 구하고 직접 엎드려 자신들을 종으로 삼아달라고 요청합니다. 하지만 요셉은 눈물로 그들의 말을 듣고, 복수를 생각하지 않았음을 밝히며, 오히려 하나님의 뜻 안에서 형들이 자신을 팔았던 일이 생명을 구원하기 위한 계획이었음을 고백합니다. 그는 형제들을 위로하며 끝까지 책임을 다짐합니다.
본문의 구조
- 형들의 두려움과 사죄 요청 (50:15–17)
- 요셉의 반응과 신앙적 해석 (50:18–20)
- 요셉의 위로와 책임의 선언 (50:21)
형들의 두려움과 사죄 요청 (50:15–17)
야곱이 죽자 요셉의 형제들은 한 가지 걱정에 휩싸입니다. “요셉이 혹시 이제라도 우리를 미워해 우리가 그에게 행한 모든 악을 갚지나 않을까” 하는 두려움입니다. 과거의 죄가 다시 돌아올까 염려하며, 그들은 사람을 보내 “아버지 야곱이 살아 계실 때 너희의 허물과 죄를 용서하라 하셨다”고 전합니다. 이 말이 실제로 야곱의 말인지, 형들의 지어낸 말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그들이 얼마나 불안해하고 있었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결국 형제들은 요셉 앞에 와서 직접 엎드려 “우리를 당신의 종으로 삼으소서”라고 고백합니다. 그들의 행동은 한때 요셉을 노예로 팔아넘긴 과거와는 너무도 대조적입니다. 권력 관계가 뒤바뀐 지금, 그들은 스스로 종이 되겠다고 말합니다. 인간은 죄를 지었을 때, 그 대가를 두려워합니다. 심지어 용서를 받았어도 그 두려움은 쉽게 사라지지 않습니다. 형제들의 이 모습은 죄책감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연약함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동시에 이 장면은 그들이 진심으로 회개하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용서를 구하는 마음은 두려움에서 시작되지만, 결국 그것은 겸손이라는 결단으로 이어집니다.
요셉의 반응과 신앙적 해석 (50:18–20)
형제들의 말을 들은 요셉은 먼저 울었습니다. 그 울음은 억울함이나 분노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형제들의 두려움과 자신을 여전히 믿지 못하는 데서 오는 안타까움이 담긴 눈물이었습니다. 요셉은 형제들에게 말합니다. “두려워하지 마소서. 내가 하나님을 대신하리이까?” 그는 자신이 복수할 자격이 없음을 분명히 합니다. 이어 그는 그 유명한 말을 전합니다. “당신들은 나를 해하려 하였으나, 하나님은 그것을 선으로 바꾸사 많은 백성의 생명을 구원하게 하시려 하셨나니, 오늘과 같이 하셨나이다.” 이 고백은 요셉 인생의 신앙 고백이자, 성경 전체를 관통하는 하나님의 섭리를 가장 선명하게 보여주는 선언입니다. 사람의 악한 의도도 하나님의 손에 들어가면 선한 결과를 이룹니다. 요셉은 자신이 당한 고난을 하나님의 관점에서 해석했습니다. 단지 형들의 악함에 집중하지 않았고, 하나님이 어떻게 그 일을 사용하셨는지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이는 진짜 용서에서 나오는 깊은 통찰입니다. 과거를 되짚는 대신, 하나님의 손길을 기억하며 오늘의 자리를 받아들이는 믿음이 요셉 안에 있었습니다. 복수는 인간의 본능이지만, 용서는 하나님의 성품을 닮은 자만이 선택할 수 있는 길입니다. 요셉은 그 길을 택했고, 그 선택은 자신만이 아니라 형제들의 삶을 살리는 길이 되었습니다.
요셉의 위로와 책임의 선언 (50:21)
요셉은 다시 한 번 형제들을 향해 “두려워하지 마소서”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들과 그들의 자녀들까지 내가 기르겠다고 약속합니다. 단순히 복수하지 않겠다는 말이 아니라, 책임지고 돌보겠다는 선언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용서가 단지 마음의 정리로 끝나는 것이 아님을 보게 됩니다. 진짜 용서는 책임을 동반합니다. 요셉은 과거의 잘못을 덮어주는 것을 넘어, 그 관계를 회복하고 앞으로의 삶까지 함께 걸어가려 합니다. 이 말은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공동체와 가정, 교회, 그리고 친구 관계 속에서도 깊은 도전이 됩니다. 말로만 용서한다고 하고 마음속으로 거리를 두는 것이 아니라, 용서한 후에도 끝까지 함께하겠다는 다짐이 있어야 진짜 화해가 이루어집니다. 요셉은 형제들을 두려움에서 해방시켜 주었고, 그들의 삶을 안심시키는 보호자가 되었습니다. 이는 한때 가장 약한 자였던 요셉이, 지금은 가장 강한 자로서 책임을 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하나님의 은혜를 입은 사람은 그 은혜를 흘려보내는 사람으로 살아갑니다. 요셉은 그 은혜를 깊이 경험했고, 이제 그 은혜를 형제들에게 끝까지 흘려주고 있습니다.
결론
창세기 50장 15절부터 21절까지의 본문은 진정한 용서가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결정적인 장면입니다. 요셉은 인간적으로 충분히 복수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지만, 하나님의 뜻을 먼저 생각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삶을 해석할 때 사람의 잘잘못보다 하나님의 손길을 먼저 보았습니다. 그리고 그 믿음에서 나오는 용서와 책임은 형제들을 자유케 했고, 관계를 회복시켰습니다. 요셉의 태도는 우리에게 깊은 도전을 줍니다. 우리는 누군가를 진심으로 용서했는가. 말로만, 겉으로만 용서하고 있지는 않은가. 용서는 과거를 덮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함께 세워가는 결단입니다. 요셉은 그렇게 했고, 하나님은 그런 요셉을 통해 한 민족의 시작을 지켜가셨습니다. 우리도 요셉처럼, 하나님의 섭리를 먼저 바라보고, 그 뜻 안에서 살아가는 용서의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용서는 관계를 살리고,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는 가장 강력한 믿음의 실천입니다.
창세기 요약
'성경연구 > 성경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 1장 해석 (0) | 2025.04.02 |
---|---|
창세기 50 : 22 ~ 26 절 묵상 (0) | 2025.03.31 |
창세기 50 : 1 ~ 14 절 묵상 (0) | 2025.03.31 |
창세기 49 : 28 ~ 33 절 묵상 (0) | 2025.03.31 |
창세기 49 : 3 ~ 27 절 묵상 (0) | 2025.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