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50 : 22 ~ 26 절 묵상
약속을 붙든 자의 마지막
본문 요약
요셉은 애굽에서 계속 살아가며, 자신의 죽음이 가까움을 느끼자 형제들에게 하나님께서 반드시 이스라엘 자손을 가나안으로 인도하실 것을 확신 있게 말합니다. 그리고 자신을 가나안 땅에 장사해 달라는 유언을 남깁니다. 이후 그는 죽고, 애굽에서 향재료로 시신을 처리한 뒤 관에 넣어졌습니다. 이 장면은 요셉의 삶 전체가 하나님의 언약을 향해 있었음을 보여주는 믿음의 마침표입니다.
본문의 구조
- 요셉이 애굽에서의 삶을 이어감 (50:22–23)
- 하나님께서 반드시 인도하실 것을 확신함 (50:24–25)
- 요셉의 죽음과 시신 처리 (50:26)
요셉이 애굽에서의 삶을 이어감 (50:22–23)
요셉은 아버지 야곱이 죽은 후에도 애굽에서 살아가며, 110세의 나이까지 장수합니다. 그는 에브라임의 삼대를 보고, 므낫세의 자손이 자신의 무릎에서 태어나는 것을 볼 정도로 자손이 번성하는 모습을 지켜봅니다. 이는 요셉이 하나님의 복을 누리며 후손을 품고 살아갔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성경은 그가 애굽의 총리로서 어떤 정치적 성취를 더했는지는 자세히 다루지 않습니다. 대신 그가 자손과 함께했고, 가족 중심으로 인생을 마무리해 가는 모습에 집중합니다. 이는 신앙인의 삶에서 진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요셉은 총리로서도 위대했지만, 마지막엔 믿음의 사람으로서 자신의 자리를 정리합니다. 성공의 자리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약속을 붙든 채 후손에게 신앙의 유산을 넘기는 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의 삶은 땅 위의 성공보다 하나님 앞의 신실함에 더 무게를 둡니다.
하나님께서 반드시 인도하실 것을 확신함 (50:24–25)
요셉은 자신의 죽음을 앞두고 형제들에게 분명하게 말합니다. “하나님이 반드시 당신들을 돌보시고, 당신들을 이 땅에서 인도하여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맹세하신 땅에 이르게 하시리라.” 이 말은 단순한 유언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주신 언약에 대한 절대적 신뢰의 고백입니다. 요셉은 출애굽을 보지 못했지만, 하나님께서 반드시 그 일을 이루실 것을 믿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당신들이 나의 해골을 메고 올라갈 것이라”는 말과 함께 자신의 유해를 가나안에 장사해 달라고 유언합니다. 이는 야곱이 가나안에 묻히고자 했던 그 신앙의 전통을 이어가는 고백입니다. 죽음을 맞이하며, 요셉은 애굽이라는 강대국에서의 삶을 내려놓고, 하나님의 약속이 있는 땅으로 돌아가고자 합니다. 요셉은 애굽의 성공보다 하나님의 말씀을 더 중요하게 여겼고, 하나님의 뜻이 언젠가 반드시 이루어질 것이라는 믿음으로 삶을 마무리합니다. 이 장면은 히브리서 11장에서도 “믿음으로 요셉은 죽을 때에 이스라엘 자손이 애굽에서 나갈 것을 말하고 자기 뼈를 위하여 명하였으며”라고 기록되어, 믿음의 대표적 행위로 꼽힙니다. 보이지 않는 미래를 확신하며, 자신의 죽음 이후까지도 하나님께 맡기는 태도는 깊은 신앙의 열매입니다.
요셉의 죽음과 시신 처리 (50:26)
요셉은 결국 110세에 죽고, 그의 시신은 향재료로 처리되어 관에 담긴 채 애굽에 보관됩니다. 그는 곧바로 가나안에 묻히지 못했지만, 그의 유언은 출애굽기와 여호수아서에 이르기까지 이어집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요셉의 뼈를 잊지 않았고, 실제로 여호수아가 가나안 땅에 들어간 뒤 세겜에 요셉의 유해를 장사하게 됩니다. 이는 단지 유언을 이행한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주신 약속이 세대를 넘어 성취되는 장면입니다. 요셉의 죽음은 신앙의 끝이 아니라, 하나님의 언약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연결 고리였습니다. 하나님은 사람의 생애를 넘어서 일하시며, 그분의 언약은 사람의 수명을 초월해 이어집니다. 요셉의 뼈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증거하는 유물이 되었고,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흔들릴 때마다 그 유언과 유해는 약속을 상기시키는 표적이 되었습니다. 요셉은 자신의 죽음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기억하게 만들었고, 그 뼈는 믿음의 상징으로서 민족의 중심에 남게 됩니다.
결론
창세기 50장 22절부터 26절은 요셉의 마지막 순간을 기록한 구절이지만, 그 속에는 신앙의 깊은 결단과 언약을 향한 강한 확신이 담겨 있습니다. 요셉은 애굽의 총리였지만, 그의 마지막 관심은 하나님께서 맹세하신 약속의 땅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죽음을 준비하며, 하나님의 뜻이 반드시 이루어질 것을 확신했고, 후손들이 그 약속을 기억하도록 믿음의 흔적을 남겼습니다. 하나님의 백성은 지금의 환경이나 권세보다, 하나님의 약속이 이루어질 미래를 바라보는 자들입니다. 요셉의 삶은 고난에서 시작하여 영광에 이르렀고, 그 영광은 하나님께 향한 신실함으로 완성되었습니다. 그의 마지막 유언은 그 어떤 정치적 유산보다 강력했고, 실제로 이스라엘 민족의 영적 정체성을 세우는 초석이 되었습니다. 우리도 요셉처럼 삶의 마지막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지 고민해야 합니다. 신앙은 죽음을 넘어 이어지고, 믿음은 세대를 넘어 계승됩니다. 요셉은 말로만 믿은 것이 아니라, 자신의 마지막 선택으로 그 믿음을 증명했습니다. 진정한 믿음은 삶의 끝에서 빛납니다. 요셉은 그 빛을 남기고 떠났습니다.
창세기 요약
'성경연구 > 성경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 2장 해석 (0) | 2025.04.02 |
---|---|
창세기 1장 해석 (0) | 2025.04.02 |
창세기 50 : 15 ~ 21 절 묵상 (0) | 2025.03.31 |
창세기 50 : 1 ~ 14 절 묵상 (0) | 2025.03.31 |
창세기 49 : 28 ~ 33 절 묵상 (0) | 2025.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