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세기 50장 해석

הלך 2025. 4. 2.
반응형

야곱의 장례와 요셉의 용서 – 구속사의 완성

본문 요약

창세기 50장은 야곱의 죽음을 애굽과 가나안 전역이 슬퍼하며 장례를 치르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이후 요셉은 형제들의 두려움을 해소하며 진심으로 그들을 용서하고 돌본다. 요셉의 삶은 하나님의 섭리를 신뢰한 신자의 모범이며, 야곱의 죽음을 계기로 이스라엘 가족 전체가 하나님의 뜻 안에 어떻게 하나 되는지를 보여주는 감동적인 마무리다.

본문의 구조

  1. 야곱의 죽음과 장례(1절~14절)
  2. 요셉이 형들을 용서함(15절~21절)
  3. 요셉의 마지막 날들과 유언(22절~26절)

야곱의 죽음과 장례

야곱이 죽자 요셉은 아버지를 향해 진심으로 애통해하며 시신에 입을 맞춘다. 그는 애굽의 의사들을 시켜 야곱의 몸을 향품으로 처리하게 하고, 40일 동안 장례 절차를 치른다. 애굽 사람들도 70일 동안 조문하며 슬퍼한다. 이는 요셉의 영향력이 얼마나 컸는지, 또 야곱이 애굽 내에서도 존경받는 인물로 여겨졌음을 보여준다.

요셉은 바로에게 허락을 받아 아버지를 가나안 땅에 장사하러 가고, 바로는 그의 신하들과 고위 관료들, 병거와 기병들까지 함께 보내어 매우 성대한 장례 행렬이 이루어진다. 야곱은 자신이 유언한 대로, 막벨라 굴에 장사된다. 이곳은 아브라함, 사라, 이삭, 리브가, 레아가 묻힌 곳으로, 하나님의 약속을 기억하는 신앙의 중심지다.

이 장례는 단순히 한 조상의 죽음이 아니라, 하나님이 약속하신 땅에 대한 이스라엘 백성의 소망과 정체성을 다시 일깨우는 상징적 사건이다.

요셉이 형들을 용서함

야곱의 장례 후, 요셉의 형제들은 두려움에 빠진다. 아버지가 죽었으니 이제 요셉이 자신들을 원망하고 복수하지 않을까 걱정한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야곱이 죽기 전에 “형들을 용서하라”고 명령했다는 말을 전하며, 요셉 앞에 엎드려 자신들을 종으로 삼아 달라고 한다.

그러자 요셉은 울며 말한다. “두려워하지 마소서, 내가 하나님을 대신하리이까? 당신들은 나를 해하려 하였으나, 하나님은 그것을 선으로 바꾸사 오늘과 같이 많은 백성의 생명을 구원하게 하셨나이다.”

이 말씀은 창세기의 핵심 메시지이자, 성경 전체의 구속사의 중심을 이루는 고백이다. 사람의 죄와 악한 동기마저도 하나님은 선을 이루시는 뜻 안에서 사용하신다. 요셉은 복수하지 않고, 오히려 형제들을 위로하고 돌본다.

요셉의 용서는 인간적인 선의가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바라보고 자신의 고난을 하나님의 계획으로 해석한 신앙에서 비롯된 것이다.

요셉의 마지막 날들과 유언

요셉은 110세까지 살아 자손들을 보고, 에브라임의 3대 손까지 보며 복된 노년을 보낸다. 그는 죽기 전에 형제들에게 “하나님이 반드시 너희를 돌보시고, 너희를 이 땅에서 인도하여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맹세하신 땅으로 올라가게 하시리라”고 말하며 믿음의 유언을 남긴다.

또한 그는 “내 해골을 여기서 메고 올라가라”고 부탁한다. 이는 히브리서 11장에서도 언급된 믿음의 고백으로, 그는 죽음을 앞두고서도 하나님의 약속이 반드시 이루어질 것을 확신했다.

요셉은 죽은 후 향품으로 처리되어 관에 담겨 애굽에 안치되었고, 훗날 출애굽 때 이스라엘 백성은 그의 유해를 가지고 나간다(출애굽기 13:19). 이로써 요셉의 신앙은 죽음 이후에도 하나님의 약속 안에 머무는 삶의 증거가 된다.

결론

창세기 50장은 요셉의 용서와 믿음, 그리고 하나님의 섭리가 얼마나 완전하고 신실한지를 보여주는 장이다. 요셉은 고난과 억울함을 겪었지만, 그것을 하나님의 손에 맡기고 형제들을 용서함으로써 진정한 믿음의 사람으로 완성된다.

야곱의 죽음과 장례는 이스라엘 민족의 뿌리를 다시 가나안에 두게 하는 신앙적 회복의 사건이며, 요셉의 마지막 고백은 하나님의 약속이 사람의 생애를 넘어 세대를 잇는다는 사실을 선포한다.

창세기의 마지막 장은 시작과 대조된다. 에덴에서 죄로 인해 쫓겨난 인간의 이야기는, 하나님께서 선택한 한 가문을 통해 회복과 구원의 역사를 시작하신 장으로 마무리된다.

하나님은 지금도 여전히 요셉의 고백처럼, “악을 선으로 바꾸사” 구원의 뜻을 이루시는 분이시며, 우리의 인생도 그 섭리 안에서 아름답게 빚어가고 계신다.

 

창세기 요약

 

반응형

'성경연구 > 성경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애굽기 2장 해석  (0) 2025.04.03
출애굽기 1장 해석  (0) 2025.04.03
창세기 49장 해석  (0) 2025.04.02
창세기 48장 해석  (0) 2025.04.02
창세기 47장 해석  (0) 2025.04.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