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74

열왕기상 22장 해석

아합의 교만과 거짓 선지자들, 하나님의 진리의 승리본문 요약열왕기상 22장은 북이스라엘 왕 아합의 최후를 중심으로 진행되며, 유다 왕 여호사밧과의 동맹, 전쟁을 위한 거짓 선지자들의 등장, 참 선지자 미가야의 예언, 그리고 하나님의 말씀대로 이루어지는 아합의 죽음을 상세히 보여줍니다. 겉으로는 왕들이 연합하고, 수많은 예언자들이 평화를 외치지만, 오직 하나님의 말씀만이 진실임을 이 장은 강력하게 증언합니다.본문의 구조아합과 여호사밧의 동맹과 전쟁 계획 (1절~12절)참 선지자 미가야의 예언과 왕들의 반응 (13절~28절)전쟁의 결과와 아합의 죽음 (29절~40절)유다 왕 여호사밧의 행적 요약 (41절~50절)아하시야의 통치 시작 (51절~53절)아합과 여호사밧의 동맹과 전쟁 계획 (1절~12절)아합은 아..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4. 13.

열왕기상 21장 해석

나봇의 포도원과 아합의 악행본문 요약열왕기상 21장은 북이스라엘 왕 아합과 그의 아내 이세벨이 하나님의 율법과 정의를 무시하고 나봇의 포도원을 강제로 빼앗는 악행을 저지른 사건을 다룹니다. 나봇은 조상의 유산을 지키기 위해 왕의 제안을 거절했지만, 이세벨은 거짓 증언과 살인을 통해 그를 제거합니다. 이로 인해 하나님은 선지자 엘리야를 통해 아합에게 엄중한 심판을 선포하시고, 아합은 일시적으로 회개하지만 결국 그의 집안은 멸망을 향해 갑니다. 이 장은 권력의 남용과 하나님의 공의, 그리고 회개의 기회를 함께 보여줍니다.본문의 구조나봇의 포도원을 요구하는 아합 (1절~4절)이세벨의 계략과 나봇의 죽음 (5절~16절)엘리야의 책망과 하나님의 심판 선포 (17절~26절)아합의 회개와 하나님의 유예 (27절~29..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4. 13.

2025년 4월 27일 넷째 주일 낮 대표기도문

2025년 4월 27일 넷째 주일 낮 대표기도문거룩하시고 자비로우신 하나님 아버지,이 땅 가운데 거룩한 주의 날을 허락하신 은혜에 감사를 올려드립니다.하늘은 여전히 주의 영광을 선포하고, 땅은 침묵 속에 주님의 권능을 드러내는데,주님께서는 이 작은 자들을 기억하시고, 예배의 자리에 부르시어 하나님을 뵈옵는 복을 주시니,이 얼마나 크고 놀라운 은총인지요.사망의 권세를 이기시고 부활하신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모인 주의 백성들이이 시간 마음을 모아 하늘을 향하여 기도하오니, 주님, 들으시고 응답하여 주옵소서.세상의 시간은 어지럽게 흐르나, 주님의 시간은 오늘도 평안과 질서 가운데 우리를 부르십니다.하늘의 시계는 어김없이 주의 나라를 향해 전진하고 있음을 믿사오니,이 예배가 하나님의 뜻 가운데 더욱 깊이..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4. 13.

열왕기상 20장 해석

아합의 불순종과 벤하닷에 대한 하나님의 은혜본문 요약열왕기상 20장은 이스라엘 왕 아합과 아람 왕 벤하닷 사이에 벌어진 두 차례의 전쟁과, 그 과정 속에서 하나님의 도우심과 아합의 불순종이 대조되며 전개됩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위하여 두 번이나 큰 승리를 주시지만, 아합은 하나님의 뜻을 따르지 않고 벤하닷을 살려 보내는 실수를 저지릅니다. 이 장은 하나님의 구원이 단지 은혜로 주어졌다는 사실과, 그 은혜를 무시하거나 경시할 때 책임이 따른다는 점을 강하게 경고합니다.본문의 구조벤하닷의 도발과 아합의 수세적 대응 (1절~12절)하나님의 개입과 첫 번째 전쟁의 승리 (13절~21절)벤하닷의 오만과 두 번째 전쟁 (22절~30절)아합의 불순종과 선지자의 경고 (31절~43절)벤하닷의 도발과 아합의 수세적 ..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4. 13.

열왕기상 19장 해석

낙심한 엘리야와 하나님의 회복본문 요약열왕기상 19장은 갈멜산에서 하나님의 큰 승리를 경험한 엘리야가, 이세벨의 위협 앞에서 두려움에 빠져 광야로 도망치고 절망에 빠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런 엘리야를 책망하지 않고 오히려 친히 찾아와 먹이시고 회복시키시며, 다시 사명을 맡기십니다. 이 장은 위대한 믿음의 사람도 낙심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하나님은 그러한 이들을 부드럽게 돌보시고 다시 일으키시는 분임을 강조합니다.본문의 구조엘리야의 도망과 낙심 (1절~8절)하나님의 세미한 음성과 엘리야의 회복 (9절~18절)다음 세대 선지자 엘리사를 부르심 (19절~21절)엘리야의 도망과 낙심 (1절~8절)갈멜산에서 바알 선지자들을 물리친 엘리야는, 그 소식을 들은 이세벨이 “내일 이맘때에 내가 반드..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4. 13.

열왕기상 18장 해석

갈멜산 대결: 참 하나님이 누구인가본문 요약열왕기상 18장은 엘리야와 바알 선지자들 사이에서 벌어진 갈멜산 대결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참 하나님이 누구인지를 온 이스라엘 앞에 드러내는 역사적인 사건입니다. 오랜 가뭄 후 엘리야는 아합과 다시 마주하고, 바알의 권세를 부정하며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을 증명합니다. 이 대결은 단순한 종교 논쟁이 아니라, 이스라엘 백성의 마음을 하나님께로 돌이키기 위한 하나님의 강력한 역사이며, 마지막에는 기도에 응답하시는 하나님이 비를 내려 주심으로써 그분의 살아 계심과 자비를 확증하십니다.본문의 구조엘리야와 아합의 재회, 오바댜의 사명 (1절~19절)갈멜산 대결과 바알 선지자들의 무능 (20절~29절)엘리야의 기도와 여호와의 불 응답 (30절~40절)기도의 응답으로 비가 내..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4. 13.

열왕기상 17장 해석

엘리야와 아합의 대면: 하나님의 살아 계심을 선포하다본문 요약열왕기상 17장은 북이스라엘 역사 가운데 최초로 등장하는 예언자 엘리야의 사역을 통해 하나님이 참 하나님이심을 드러내는 장입니다. 아합 시대의 우상 숭배와 영적 타락 속에서 엘리야는 하나님께서 보내신 선지자로서, 비를 멈추게 하는 권능과 함께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합니다. 이어 그릿 시냇가와 사르밧 과부의 집에서 일어난 이적을 통해, 하나님의 공급과 생명의 주권을 선명히 드러냅니다.본문의 구조엘리야의 등장과 가뭄 예언 (1절)그릿 시냇가에서의 하나님의 공급 (2절~7절)사르밧 과부의 기적과 생명의 회복 (8절~24절)엘리야의 등장과 가뭄 예언 (1절)이 장은 “길르앗에 우거하는 자 중에 디셉 사람 엘리야가 아합에게 말하되”라는 문장으로 시작되며,..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4. 13.

열왕기상 16장 해석

하나님의 심판 아래 놓인 바아사의 왕조본문 요약열왕기상 16장은 북이스라엘 왕 바아사의 악행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 예고로 시작되어, 그의 아들 엘라의 짧은 통치, 시므리의 반역과 자멸, 그리고 오므리의 등장을 통해 혼란스러운 왕조 교체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 모든 일련의 사건들은 이스라엘이 하나님을 떠나 우상 숭배에 빠졌을 때 얼마나 쉽게 내부 붕괴와 정치적 혼란에 빠지는지를 드러냅니다.본문의 구조바아사의 죄악과 하나님의 심판 선언 (1절~7절)엘라 왕의 짧은 통치와 시므리의 반역 (8절~14절)시므리의 자살과 짧은 통치 (15절~20절)오므리의 왕위 쟁탈과 통치 시작 (21절~28절)오므리의 죄와 아합의 등장 (29절~34절)바아사의 죄악과 하나님의 심판 선언 (1절~7절)선지자 예후는 하나님의 말씀을..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4. 13.

열왕기상 15장 해석

아비얌과 아사의 통치: 악한 왕과 선한 왕의 대조본문 요약열왕기상 15장은 유다 왕 아비얌과 그의 아들 아사의 통치 내용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그들과 동시에 북이스라엘을 다스렸던 여러 왕들에 대해서도 언급합니다. 아비얌은 악한 왕으로, 아버지 르호보암의 길을 따랐고, 반대로 아사는 하나님의 뜻에 맞는 선한 통치를 펼쳤습니다. 이 장은 유다와 이스라엘 왕들의 통치를 비교하며, 하나님 앞에서의 순종 여부가 나라의 운명을 결정짓는 중요한 기준임을 보여줍니다.본문의 구조유다 왕 아비얌의 통치 (1절~8절)유다 왕 아사의 통치 (9절~24절)북이스라엘 왕 나답과 바아사의 통치 (25절~34절)유다 왕 아비얌의 통치 (1절~8절)여로보암 왕 18년에 유다 왕이 된 아비얌은 예루살렘에서 3년 동안 통치하였습니다. 성..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4. 13.

열왕기상 14장 해석

여로보암 집안의 심판과 하나님의 오래 참으심본문 요약열왕기상 14장은 여로보암의 아들 아비야가 병들자, 여로보암이 그의 아내를 변장시켜 실로의 선지자 아히야에게 보내는 장면으로 시작됩니다. 하나님은 아히야를 통해 여로보암 집안에 임할 무서운 심판을 선포하시고, 북이스라엘의 멸망을 경고하십니다. 이어 남유다의 르호보암 시대에도 우상 숭배가 성행했음을 언급하며, 남북 왕국 모두가 하나님의 뜻을 거역하고 있음을 드러냅니다.본문의 구조여로보암의 아내와 아히야의 예언 (1절~20절)르호보암의 악행과 유다의 타락 (21절~24절)애굽의 침공과 성전 보물 약탈 (25절~28절)르호보암의 죽음과 아비얌의 즉위 (29절~31절)여로보암의 아내와 아히야의 예언 (1절~20절)여로보암의 아들 아비야가 병들자, 여로보암은 아..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4. 13.

열왕기상 13장 해석

하나님의 심판 선포와 우상 숭배의 비극본문 요약열왕기상 13장은 여로보암이 만든 금송아지 제단에서 제사를 드리는 장면에서 시작되며, 하나님께서 한 하나님의 사람을 보내어 심판의 말씀을 선포하게 하시는 내용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 하나님의 사람은 유다에서 온 예언자이며, 그가 여로보암의 우상 숭배를 정면으로 고발합니다. 그러나 그는 하나님의 명령을 온전히 따르지 못하고 유혹에 빠져 죽음을 맞이합니다. 이 장은 하나님의 말씀의 절대성과, 인간의 순종과 불순종이 얼마나 중요하게 다뤄지는지를 강력하게 보여줍니다.본문의 구조하나님의 사람이 베델 제단을 저주함 (1절~10절)하나님의 사람의 불순종과 죽음 (11절~32절)여로보암의 완고함과 하나님의 경고 무시 (33절~34절)하나님의 사람이 베델 제단을 저주함 ..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4. 13.

열왕기상 12장 해석

르호보암의 어리석은 결정과 왕국의 분열본문 요약열왕기상 12장은 솔로몬의 아들 르호보암이 왕이 되는 장면과, 백성들의 요구에 어리석게 대응함으로써 이스라엘 왕국이 북이스라엘과 남유다로 갈라지는 과정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여로보암은 북쪽 열 지파의 왕이 되고, 르호보암은 유다와 베냐민 지파만을 다스리게 됩니다. 이 사건은 단지 정치적 분열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솔로몬의 불순종에 대한 심판으로 미리 말씀하신 일이 성취되는 역사적 전환점입니다.본문의 구조르호보암의 즉위와 백성의 요구 (1절~5절)르호보암의 두 가지 조언과 선택 (6절~15절)이스라엘의 분열과 여로보암의 왕위 등극 (16절~24절)여로보암의 금송아지 숭배와 종교 개혁 왜곡 (25절~33절)르호보암의 즉위와 백성의 요구 (1절~5절)솔로몬이 죽은..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