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연구/성경강해1571

에스라 3장 묵상

예배의 회복과 성전 기초의 감격본문 요약에스라 3장은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예루살렘에서 하나님께 예배를 회복하고 성전의 기초를 놓는 과정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먼저, 백성들은 일곱째 달이 되어 예루살렘에 모였고, 여호사닥의 아들 예수아와 스알디엘의 아들 스룹바벨이 주도하여 번제를 드릴 제단을 세웠습니다. 그들은 율법에 따라 절기를 지키며 하나님께 예배드렸고, 성전 재건을 위한 준비를 시작했습니다. 이후 레위인들이 조직되어 성전 기초 공사를 감독하였고, 마침내 성전의 기초가 놓이는 감격적인 순간이 찾아왔습니다. 백성들은 큰 소리로 찬양하고 하나님께 감사를 올렸으나, 성전의 옛 영광을 기억하는 나이 많은 사람들은 눈물을 흘렸습니다. 기쁨과 슬픔이 뒤섞인 감격의 순간을 통해, 하나님의 약속..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2. 5.

에스라 2장 묵상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자들본문 요약에스라 2장은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유다 백성들의 명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바사(페르시아) 왕 고레스의 조서에 따라 예루살렘으로 돌아간 사람들의 이름과 가문, 직분이 정리되어 있으며, 총 42,360명의 백성과 7,337명의 종들, 그리고 200명의 노래하는 자들이 귀환했습니다. 이들은 조상의 가문을 따라 기록되었으며, 제사장, 레위인, 성전 봉사자 등 성전을 섬길 자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조상들의 계보를 확인하지 못한 일부 사람들은 제사장 직분을 보류당했습니다. 예루살렘에 도착한 이들은 하나님께 예물을 드리며 성전 재건을 준비합니다. 본장은 귀환한 백성들의 명단을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하나님의 언약이 이루어지는 역사적 사건으로 보여줍니다.본문의 구조귀환..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2. 5.

에스라 1장 묵상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귀환의 시작본문 요약에스라 1장은 바벨론 포로로 끌려간 유다 백성이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일하시는 장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바사(페르시아) 왕 고레스가 하나님의 감동을 받아 유다 백성의 귀환을 허락하고, 성전 재건을 위해 명령을 내립니다. 그는 하나님의 명령을 받았음을 인정하며, 유다 백성들이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성전을 다시 세울 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포로로 끌려갔던 백성들이 귀환할 수 있도록 주변 사람들에게 은과 금, 가축, 귀중품 등을 제공하라고 명령합니다. 이 과정에서 바벨론이 약탈했던 성전의 기물들도 돌려받게 됩니다. 에스라 1장은 하나님의 약속이 성취되는 순간을 보여주며, 하나님의 계획은 인간의 역사 속에서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2. 5.

역대하 36장 묵상

유다의 멸망과 하나님의 신실하심본문 요약역대하 36장은 유다 왕국의 마지막 순간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요시야 왕의 죽음 이후 유다는 급격히 쇠퇴하며 하나님을 떠나게 됩니다. 그의 아들 여호아하스가 왕이 되지만 3개월 만에 애굽 왕 바로 느고에 의해 폐위됩니다. 이후 여호야김이 왕위에 오르지만, 그는 하나님을 떠나 악을 행하며 바벨론의 침략을 받습니다. 그의 아들 여호야긴 역시 짧은 통치를 끝으로 바벨론에 끌려가고, 마지막 왕 시드기야도 결국 하나님의 말씀을 거부한 채 바벨론에 의해 예루살렘이 함락되며 유다는 멸망합니다. 하나님은 여러 차례 선지자들을 보내 유다가 회개하도록 기회를 주셨지만, 백성들은 이를 무시하고 죄악을 거듭했습니다. 결국 성전이 불타고 성벽이 무너지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지만, 바벨론..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2. 5.

역대하 35장 묵상

요시야의 신앙과 그의 마지막 길본문 요약역대하 35장은 요시야 왕이 행한 유월절 예식과 그의 죽음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요시야는 성전을 정비한 후 유다 백성들과 함께 성대하게 유월절을 지켰습니다. 그는 모든 백성이 하나님의 율법에 따라 유월절을 준수하도록 명령하고, 성전에서 섬기는 제사장과 레위인들에게 철저히 준비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이 유월절은 사사 시대 이후로 볼 수 없었던 위대한 규모로 진행되었습니다. 이후 요시야는 애굽 왕 느고가 북쪽으로 올라가는 길을 막으려 했고, 하나님의 뜻을 거스르면서 전쟁에 나섰다가 결국 전사하고 맙니다. 그의 죽음은 유다 백성들에게 큰 슬픔을 남겼고, 예레미야 선지자 역시 그를 위해 애가를 지었습니다. 본장은 요시야의 신실한 신앙과 유월절 개혁을 강조하면서도, 그의 마..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