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연구/성경강해1571

고린도전서 14장 묵상

방언과 예언, 교회의 덕을 세우는 질서본문 요약고린도전서 14장은 교회에서 방언과 예언의 사용에 대한 가르침을 다루고 있습니다. 바울은 사랑을 따르되 신령한 은사를 사모하라고 권면하면서, 특히 예언을 강조합니다. 방언은 개인의 덕을 세우지만, 예언은 교회의 덕을 세우기에 더 유익하다고 말합니다. 바울은 방언이 이해되지 않으면 듣는 사람에게 아무 유익이 없으며, 교회에서 방언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통역이 필요하다고 가르칩니다. 그는 모든 것이 덕을 세우기 위한 것이어야 하며, 질서를 따라 예배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바울은 하나님께서 혼란의 하나님이 아니라 질서의 하나님이심을 강조하며, 예배가 정돈되고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함을 가르치며 이 장을 마무리합니다.본문의 구조방언보다 예언을 사모할 것 (..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3. 21.

고린도전서 13장 묵상

사랑이 가장 큰 은사본문 요약고린도전서 13장은 신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랑임을 강조하는 장입니다. 바울은 방언과 예언, 지식과 믿음, 구제와 자기 희생이 있더라도 사랑이 없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고 말합니다. 그는 사랑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사랑은 오래 참고, 온유하며, 시기하지 않고, 자랑하지 않으며, 교만하지 않고, 무례하지 않으며, 자기 유익을 구하지 않는다고 가르칩니다. 사랑은 불의를 기뻐하지 않고 진리를 기뻐하며, 모든 것을 참으며, 믿으며, 바라며, 견딘다고 말합니다. 또한, 바울은 예언과 방언, 지식은 결국 사라지지만, 사랑은 영원히 남는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그는 신앙의 여정에서 현재는 부분적으로 알고 있지만, 장차 완전한 것이 올 때 온전히 알게 될 것이라고 말하며, 믿음과 ..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3. 21.

고린도전서 12장 묵상

성령의 은사와 교회의 하나 됨본문 요약고린도전서 12장은 성령의 은사와 교회의 지체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는 장입니다. 바울은 성령의 역사로 인해 신자가 예수를 주라고 고백할 수 있으며, 성령께서 각 사람에게 다양한 은사를 주신다고 설명합니다. 그러나 이 모든 은사는 개인의 유익이 아니라 공동체를 세우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교회를 하나의 몸에 비유하며, 성도들은 각기 다른 역할을 맡고 있지만, 모두가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는 중요한 지체임을 가르칩니다. 몸의 각 지체가 서로 협력해야 하듯이, 성도들도 서로를 존중하고 섬겨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바울은 성령께서 교회 안에서 각각의 역할을 정하셨음을 강조하며, 은사 중에서도 사랑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암시하면서 이 장을 마무리합니다.본문의 구조성..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3. 21.

고린도전서 11장 묵상

주 안에서의 질서와 성찬의 의미본문 요약고린도전서 11장은 교회에서의 질서와 성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장입니다. 바울은 먼저 남자와 여자의 머리에 대한 가르침을 통해 하나님께서 세우신 권위의 질서를 설명합니다. 그는 남자는 그리스도의 영광이며, 여자는 남자의 영광이라고 말하며, 교회 안에서 질서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가르칩니다. 이어서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서 성찬을 행하는 방식이 잘못되었음을 지적합니다. 성도들이 성찬을 나눌 때 서로를 배려하지 않고, 부유한 자들은 자기들만 먹고 가난한 자들은 굶주린 채 남겨지는 일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성찬이 단순한 식사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기념하는 거룩한 예식임을 강조하며, 성찬을 합당하게 행하지 않는 것은 주의 몸과 피를 멸시하는 것과 같다고..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3. 21.

고린도전서 10장 묵상

우상을 피하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삶본문 요약고린도전서 10장은 이스라엘 백성의 실패를 교훈 삼아 신자가 우상 숭배와 죄의 유혹을 피하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삶을 살아야 함을 강조하는 장입니다. 바울은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하나님께 받은 복을 누렸지만, 결국 불순종과 탐욕, 우상 숭배로 인해 멸망한 역사를 상기시키며, 신자들도 동일한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경고합니다. 그는 시험이 있을지라도 하나님께서 피할 길을 주신다고 격려하며, 신자들이 우상과 하나님을 동시에 섬길 수 없음을 강조합니다. 또한, 음식과 자유의 문제를 다루면서 신앙의 자유가 다른 이들에게 걸림돌이 되어서는 안 되며, 모든 것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태도로 해야 한다고 가르칩니다.본문의 구조이스라엘의 실패를 교훈 삼을 것 ..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