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28

로마서 9장 묵상

하나님의 주권과 선택본문 요약로마서 9장은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과 선택의 원리를 설명합니다. 바울은 이스라엘을 향한 자신의 애통한 마음을 표현하며, 그들에게 주어진 특권에도 불구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지 않음으로 인해 하나님의 약속에서 멀어졌음을 안타까워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약속은 혈통에 의해 계승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이삭과 이스마엘, 야곱과 에서의 예를 통해 하나님의 선택이 인간의 공로가 아닌 그의 계획과 은혜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또한, 바로의 예를 들어 하나님께서 누구를 긍휼히 여기고 누구를 강퍅하게 하실지 정하시는 것은 하나님의 주권에 속한 문제임을 설명합니다. 결국, 하나님은 토기장이가 진흙을 다루듯이 자신의 뜻에 따라 역사하시며, 이방인들도 하..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3. 20.

로마서 8장 묵상

성령 안에서 누리는 생명과 자유본문 요약로마서 8장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들에게 정죄함이 없음을 선언하며, 성령 안에서 새로운 생명과 자유를 누리는 삶을 강조합니다. 율법은 죄로 인해 연약하여 우리를 구원할 수 없지만,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어 죄를 정죄하심으로 우리를 의롭게 하셨습니다. 성령을 따라 사는 자들은 육신의 정욕이 아닌 하나님의 뜻을 좇으며, 하나님의 자녀로서 영광을 누릴 것입니다. 비록 현재의 고난이 있지만 장차 나타날 영광과 비교할 수 없으며, 피조물도 하나님의 아들들이 나타나기를 간절히 기다리고 있습니다. 성령은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며, 하나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시고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게 하십니다. 마지막으로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의 구원이 확실하며, 어..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3. 20.

로마서 7장 묵상

율법과 죄,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서의 자유본문 요약로마서 7장은 율법과 죄의 관계, 그리고 인간이 겪는 내적 갈등을 설명합니다. 바울은 율법이 죄를 깨닫게 하지만 인간을 구원할 수는 없다고 말합니다. 그리스도를 믿는 우리는 율법에서 해방되었고, 이제는 새로운 생명의 길로 하나님을 섬겨야 합니다. 그러나 여전히 내면에서는 죄의 법이 작용하며, 선을 행하고 싶어도 악이 함께 역사하는 현실을 경험합니다. 바울은 자신의 연약함을 고백하며, 죄의 법에서 벗어나려 하지만 스스로 해결할 수 없음을 깨닫습니다. 결국 그는 자신을 건져내실 분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뿐임을 선언하며, 율법 아래에서의 갈등을 극복하는 길이 오직 그리스도께 있음을 강조합니다.본문의 구조율법에서의 해방 (1~6절)율법과 죄의 관계 (7~13절)내..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3. 20.

로마서 6장 묵상

죄에 대하여 죽고 하나님께 대하여 살아가라본문 요약로마서 6장은 죄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살아야 함을 강조합니다. 바울은 우리가 은혜 아래 있다고 해서 계속 죄 가운데 거할 수 없으며, 세례를 통해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다시 살아난 것처럼 우리도 새로운 생명 가운데 살아야 한다고 설명합니다. 죄의 종이었던 우리가 이제는 의의 종이 되었으므로 더 이상 죄에게 순종하지 말고 하나님께 순종해야 합니다. 우리는 자신을 하나님께 드려 의의 도구로 살아가야 하며, 죄의 삯은 사망이지만 하나님의 은사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주어진 영생임을 깨달아야 합니다.본문의 구조죄에 대해 죽고 새 생명 가운데 살아감 (1~11절)죄의 종이 아닌 의의 종으로 살아감 (12~19절)죄의 삯과 하나님의 선물 (20~23절)죄에 대해..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3. 20.

로마서 5장 묵상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화평과 생명본문 요약로마서 5장은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은 자들이 하나님과 화평을 누리게 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되었으며, 환난 중에도 기뻐할 수 있는 소망을 가집니다. 바울은 우리가 아직 연약할 때, 죄인 되었을 때, 하나님의 원수 되었을 때 예수께서 우리를 위해 죽으셨다는 사실을 강조하며, 하나님의 사랑이 얼마나 크고 깊은지를 보여줍니다. 또한 아담과 그리스도를 비교하면서, 아담 한 사람의 죄로 인해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임한 것처럼, 예수 그리스도의 의로운 행위로 인해 모든 사람이 생명을 얻게 되었음을 설명합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는 죄와 사망을 넘어 의와 생명을 얻게 되었습니다.본문의 구조믿음으로 얻은 화평과 소망 (1~5.. 성경연구/성경강해 2025. 3. 20.